다람쥐원숭이 [squirrel monkey] 다람쥐원숭이 [squirrel monkey] 영장목(靈長目) 감는꼬리원숭이과의 포유류. 학명 Saimiri sciurea 분류 영장목 감는꼬리원숭이과 분포지역 중앙아메리카의 아마존강(江) 일대, 볼리비아 서식장소 나무 위, 삼림, 강가의 숲 크기 몸길이 암컷 약 23∼29.5cm, 수컷 25∼37cm 청서원숭이라고도 한다. 몸길이는 암컷 약.. 새·동물·곤충/동물·희귀 2007.03.19
인도공작 거북 ‘이래뵈도 귀한 몸이예요~’ 인도 실리구리의 나타구리 구조 센터에서 직원이 희귀종인 인도공작 거북을 보여주고 있다. [로이터/동아닷컴 특약] 새·동물·곤충/동물·희귀 2007.03.19
박각시[hawk moth] 박각시[hawk moth] sphinx moth, hummingbird moth라고도 함. 전세계 어디나 있는 박각시과(一科 Sphingide)에 속하는 나방. 해골박각시(Acherontia atropos) 굵고 짧은 몸에 앞날개가 길고 좁으며 뒷날개는 짧다. 날개편길이는 5~20㎝이 다. 대부분의 종이 난초나 페투니아와 같은 꽃들에서 꽃꿀을 빠는 동안 꽃가루받이를 .. 새·동물·곤충/곤충류·나비 2007.03.19
새홀리기,삑삑도요,민물가마우지 멸종위기 ‘새홀리기’ 청계천에 있었네 서울 청계천 하류와 중랑천 합류부에서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2급인 새홀리기가 처음으로 발견된 데 이어 겨울철새인 삑삑도요와 민물가마우지도 카메라에 잡혔다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9
제비나비,Papilio protenor Cramer 제비나비 학명 : Papilio protenor Cramer 과명 : 호랑나비과 출현기 : 봄형 4 - 6월, 여름형 6 - 10월(연 2 - 3회 발생) 분포 : 제주도, 전라남도 광주 이남과 남해 도서 식초 : 운향과(산초나무, 초피나무, 황벽나무, 탱자나무 등) 암수구별 : 수컷은 뒷날개 윗면 전연부에 가로로 긴 황백색의 띠가 있으나 암컷은 없.. 새·동물·곤충/곤충류·나비 2007.03.19
장수하늘소 [long-horned beetle] 장수하늘소 [long-horned beetle] 장수하늘소 [將帥-, long-horned beetle] 딱정벌레목 하늘소과의 곤충. 학명 Callipogon relictus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218호 지정연도 1968년 11월 20일 소재지 경기 광릉과 강원 강릉 소금강 크기 몸길이 수컷 66∼100mm, 암컷 60∼90mm 분류 동물 몸길이 수컷 66∼100mm, 암컷 60∼90mm로 동아.. 새·동물·곤충/곤충류·나비 2007.03.19
큰개미핥개,큰개미핥기,Giant Anteater 큰개미핥개,큰개미핥기,Giant Anteater 큰개미핥개,큰개미핥기,Giant Anteater Giant Anteater 큰개미핥개는 남아메리카와 아르헨티나 북부의 밀림이나 초원지대 등지에서 서식하며, 가늘고 긴 주둥이와 혀로 개미나 유충을 핥아 먹는 세계적 희귀종. 길이는 100~120㎝ 체중18~23㎏ 꼬리 65~90㎝. 평균수명은 19년 정도... 새·동물·곤충/동물·희귀 2007.03.19
"아시아산 개구리 항암효과 첫 확인" 옴 개구리 "아시아산 개구리 항암효과 첫 확인" 옴 개구리 "아시아산 개구리 항암효과 첫 확인" 서울대 이봉진 교수팀, 미국 '의약화학'誌 게재 (서울=연합뉴스) 안은미 기자 = 아시아산 개구리를 이용해 개발한 단백질이 암세포주를 선택적으로 죽이는 항암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처음으로 .. 새·동물·곤충/동물·희귀 2007.03.19
거미원숭이[spider monkey] 거미원숭이[spider monkey] 새끼 거미원숭이 니카라과의 중앙 아메리카 Juigalpa 동물원에서 태어난지 2달 된 거미원숭이 한마리가 어미 등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 AP=연합 거미원숭이 [spider monkey] 영장목 꼬리감는원숭이과 거미원숭이속의 총칭. 학명 Ateles 분류 영장목 꼬리감는원숭이과 거미원숭이속 .. 새·동물·곤충/동물·희귀 2007.03.19
팔색조 [八色鳥, fairy pitta] 팔색조 [八色鳥, fairy pitta] 팔색조 중부내륙에서 서식 첫 확인 ▲ 제주도, 거제도 등 섬 지역과 남해안 일부에서 서식ㆍ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 제204호 팔색조가 충남 계룡산 한 계곡에서 서식하는 모습이 12일 처음으로 확인됐다. 중부내륙에서 서식과 번식이 확인된 팔색조가 아름다운 자..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