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의 순간 포착 새들의 순간 포착 난 잠자리 고기가 젤 좋아^^ 나 맛없어 ㅠㅠ 히히 대박이다 ! 오~ 예 쌍박이다 ! 너 먹어! 아니 니가 먹어! 킁킁 아직 멀었니? 좀만 참아.. 한번 만봐줘요~ 뻐꿈뻐꿈.. 난생 첨 보는 내얼굴.. 독수리왈 '참 웃기게 생겼네'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27
멸종위기종 재두루미 백화개체 발견 멸종위기종 재두루미 백화개체 발견 환경부는 지난 3일 강원도 철원군에서 목의 옆부분 일부에 백화현상이 일어난 재두루미 한 마리가 발견됐다고 25일 밝혔다.백화현상은 유전적 또는 생리적 이상에 의해 멜라닌 색소가 제대로 발현되지 않아 몸 전체 또는 일부분이 백색을 띠는 현상으로, 야생상태..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26
포천서 천연기념물 ‘흑기러기’ 관찰 포천서 천연기념물 ‘흑기러기’ 관찰 ★...내륙에서 거의 관찰하기 어려운 희귀 조류인 흑기러기(천연기념물 제325호)가 경기도 포천시 포천천에서 발견됐다. 흑기러기는 한국에 찾아오는 7종의 기러기류 가운데 하나로 개리와 함께 1982년 천연기념물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연합뉴스)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20
긴부리도요 천수만서 발견 천수만서 발견된 긴부리도요 ★...한반도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철새인 긴부리 도요가 지난 7일 충남 서산 천수만에서 발견됐다. 서산시 제공=연합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13
까치밥, 하나 더 먹을까? - 직박구리,까치 ♥ "까치밥, 하나 더 먹을까?" ★...[2007/11/07/한국일보]7일 서울 월드컵 공원에서 직박구리 한 마리가 까치밥으로 남겨 둔 감 하나를 뚝딱 먹어치운 후 기분 좋은 듯 지저귀고 있다. 까치밥이란 겨울을 앞두고 높은 곳의 감이나 과일을 따지 않고 남겨둔 것을 말한다. 이는 한겨울 배고픈 새들이 먹도록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12
북극 올빼미 '겨울이 겨울다워야지' 북극을 느껴보자! ★...러시아에 날아든 '북극 올빼미' 눈이 매섭다. 입동이 지났건만 아직도 날씨는 가을에 머물러 있다. 겨울이 기다려 지는 이들에게는 눈소식이 그립기만 하다. 도심에서 잠시나마 북극을 느껴보자!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10
가마우지[사다새목/가마우지과] 블로그 > 전기쟁이의 사진이야기 http://blog.naver.com/lys5696/100039866839 특징:84cm.민물가마우지와 매우 비슷하다.어린 새는 민물가마우지와 구별이 더욱 어렵다.검은색 몸,등에 구릿빛 녹색 광택, 조금 짧은꼬리,날개가 뒤로 치우쳐 나는듯한 모습으로 민물가마우지와 구별한다.주로 바다에서 생활. 겨울..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09
곤줄박이[참새목/박새과] 블로그 > 전기쟁이의 사진이야기 http://blog.naver.com/lys5696/100036227737 특징:14cm.머리꼭대기에서 뒷목까지 검은색으로 중앙에 황백색의 가는선이 있다. 등과배,옆구리는 적갈색이며,날개와 꼬리는 청회색,멱은 검은색.먹이를 저장하는 습성이 있다. 분포:한국,일본에 분포.언덕,산,공원 등의 잡목림에서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09
바다직박구리[참새목/지빠귀과] 블로그 > 전기쟁이의 사진이야기 http://blog.naver.com/lys5696/100039278306 특징:23cm.수컷은 몸 윗면과 머리와 가슴이 짙은 푸른색,배와 옆구리는 적갈색.부리는 흑청색,다리는 어두운 갈색, 암컷은 몸 윗면이 푸른빛이 도는 갈색이며 아랫면은 노란색에 회갈색 가로줄 무늬가 있다.바닷가나 도서 바위 위 에..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09
시화호에 나타난 황새 시화호에 나타난 황새 경기도 안산 시화호에서 지난달 22일 카메라에 잡힌 천연기념물 199호 황새. 안산시에 따르면 황새는 3년전부터 겨울을 맞아 시화호를 찾고 있으며 큰고니, 저어새와 함께 부지런히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안산시청 제공=연합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