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쩍새 [scops owl] 소쩍새 [scops owl] 올빼미목 올빼미과의 조류. 학명 Otus scops 분류 올빼미목 올빼미과 생활방식 야행성 크기 몸길이 18.5~21.5cm 색 잿빛이 도는 갈색 또는 붉은 갈색 생식 난생(1회에 4~5개) 서식장소 산지 또는 평지 숲 분포지역 한국·사할린섬·우수리·아무르·중국(북동부) 몸길이 18.5~21.5cm이다. 몸의 빛..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8.29
홍따오기 [홍학,Japanese crested ibis] 홍따오기 [Japanese crested ibis] 황새목 저어새과의 새. 학명 Nipponia nippon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198호 지정연도 1968년 5월 30일 크기 몸길이 약 75cm, 날개길이 38∼44cm, 부리길이 16∼21cm 분류 황새목 저어새과 조류 한자어로 주로(朱鷺) 또는 홍학(紅鶴)이라 한다. 몸길이 약 75cm, 날개길이 38∼44cm, 부리길이 16..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7.20
백로[白鷺] 가족 백로 白鷺 왜가릿과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말. 부리·목·다리는 길고, 두루미와 비슷하나 다소 작다. 보통 나무 위에 둥지를 틀고 무논, 호수, 해안 등지에서 물고기, 개구리, 수생 곤충 따위를 잡아먹고 산다. 맑은구름 님의.. "백로 가족" 입니다~!!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7.17
꾀꼬리 (Oriolus chinensis diffusus) 꾀꼬리 (Oriolus chinensis diffusus) 참새목 꾀꼬리과 새. 몸길이 25㎝, 날개길이 13∼16㎝. 온몸이 노란색이며, 눈에서 머리까지 검은색의 띠가 있는데, 암컷이 수컷보다 폭이 좁다. 한국 전역에서 번식하는 흔한 여름철새로, 암수 또는 단독으로 주로 나무 위에서 생활한다. 번식기에는 매우 변화가 많은 소리..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7.10
조류계의 모나리자 희귀종 미소짓는 새(부시버드) 사상 첫 촬영 조류계의 모나리자? 희귀종 ‘미소짓는 새’ 사상 첫 촬영 ▲ 미소를 짓는 듯한 모습의 부리를 가지고 있어 ‘조류계의 모나리자’로 불리는 희귀종 새가 40년 만에 재발견되었다고 27일 콜롬비아 조류보호단체가 발표했다. 콜롬비아 비영리 조류보호단체 프로아베즈가 공개한 사진 속 주인공은 ‘부..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6.26
후투티 [hoopoe] 후투티 [hoopoe] 파랑새목(─目 Coraciiformes) 후투티과(─科 Upupidae)에 속하는 새. 유럽과 아프리카의 남부, 아시아의 남동부에 분포하는 관우(冠羽)가 뚜렷한 새이다. 몸길이가 28㎝ 정도이고, 머리와 어깨는 분홍빛이 도는 갈색이며, 길고 끝에 검정색 점이 있으며 세울 수 있는 관우가 있다. 또 날개와 꼬..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6.02
후투티[hoopoe] 이스라엘 국조 '후투티' 어미새의 사랑 ★...이스라엘 환경 단체가 공개한 후투티의 모습. 어미 후투티가 둥지 안의 아기 새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후투티는 29일 이스라엘을 대표하는 국조로 뽑혔다. 옛 헤브류 말로 ‘더치펫’이라고도 불리는 후투티는 유대인을 위해 더러운 금단의 음식을 먹는다고..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6.02
따오기-천연기념물 제198호 천연기념물 제198호 따오기 우리나라에선 1980년대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천연기념물 제198호 따오기의 모습. 27일 확대 정상회담에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이명박 대통령에게 따오기 기증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연합뉴스) ▒☞[출처]한겨레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5.30
큰오색딱따구리[White-backed Woodpecker] 제주의 새 '큰오색딱따구리[White-backed Woodpecker]'의 부정 제주도를 상징하는 새로 지정된 큰오색딱따구리 수컷이 21일 제주시 한라수목원 인근 1100도로변의 고사한 나무에 마련된 둥지에서 곧 떠날 채비를 하는 새끼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고 있다. 제주/연합뉴스 ▒☞[출처]한겨레 김성호교수님 사진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5.22
천연기념물 제449호 호사도요[Painted snipe]-도요의 종류 호사도요[Painted snipe] 종 목 천연기념물 제449호 지 정 일 2005.03.17 소 재 지 전국 일원 호사도요는 매우 희귀한 철새로 서울 부근과 충남 대호, 경남 낙동강에서 확인된 기록이 있다. 2000년 서산 천수만에서 호사도요가 번식하고 있는 것이 최초로 확인된 이후 계속 번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로 중국, 타.. 새·동물·곤충/새·조류 2008.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