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받아 먹는 참새 본적 있나요? 세상에 이런일이… 라면 받아 먹는 참새 본적 있나요?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긴 걸까요. 참새가 사람이 던져주는 먹이를 먹고 있습니다. 24일 서울 인사동. 야생 조류로 알려진 참새가 떼로 몰려와 한 시민 주변에서 한가로이 놀고 있습니다. 마치 제집 안방인 양 편안한 모습인데요. 참새를 길들인(?) 사..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3
아기 황새와 엄마 황새 설립 10주년 맞은 황새복원센터 그동안 식구가 36마리로 늘어 황새들이 사육장 주변을 서성거리고 있다 알에서 황새 새끼가 부화한 지 9일이 지났을 때의 모습 생후 11일된 황새 새끼 알에서 부화한 지 11일된 황새의 모습 알에서 부화한 지 한달쯤 지난 황새의 모습. 크기도 부쩍 컸고 날갯짓도 하기 시..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3
검은댕기해오라기(Striated Heron) 검은댕기해오라기(Striated Heron) 황새목 왜가리과의 조류. 학명 Butorides striatus 분류 황새목 왜가리과 생활방식 무리 생활 크기 몸길이 52cm, 날개길이 약 20cm 색 검정색(머리), 짙은 청록색(등), 잿빛(아랫면) 생식 1회에 3~6개의 알을 낳음 서식장소 물가 분포지역 전 세계 검은댕기해오라비라고도 한다. 몸..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3
보라매와 송골매 우리 국어사전에는 보라매를 어린새끼매를 잡아 길을들여서 사냥하는데 사용하는매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렇다면 보라매의 어원은 어디서 유래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13세기몽골제국시대에는 매사냥이 매우 성행하였다 특히 이기간에는 우리나라의 사람들도 몽골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따라서..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3
어름치의 돌탑쌓기 어름치의 돌탑쌓기 아무리 섧다, 섧다 해도 집 없는 설움보다 더한 것이 어디 있겠는가. 그래서 다들 내 집 마련하는 것을 지상목표로 하고 억척같이 그것에 매달려 산다. 달팽이만 봐도 작은 배(胎)내 집을 지니고 태어나 자라가면서 조금씩 불려나가니 ‘너희들은 주택청약부금 붓지않아 좋겠다’고..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1
쇠물닭 [뜸부기과] 쇠 물 닭 이름: 쇠물닭 [뜸부기과] 학명: Gallinula chloropus indica BLYTH 번식지 : 전세계의 온대에서 열대지역에 걸쳐 번식 도래지 : 우리나라 전역의 저수지, 특히 경남 김해시 명지, 낙동강 하구 뜸부기과에 속하는 종으로, 우리나라에서 흔히 번식하는 여름철새이다. 암컷과 수컷 모두 이마에서 달걀 모양..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1
하늘의 제왕, 매 하늘의 제왕, 매 우리나라에서 관찰된 매무리는 2과 13속 28종이다. 겨울에 오리, 기러기 및 멧새 종류가 많이 찾아오는 우리나라에는 이를 먹이로 하는 다양한 맹금류가 찾아온다. 하늘의 제왕 매 무리의 종류와 특성을 알아보자 매 무리의 종류와 분류 새홀리기 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매목 Falconiformes..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1
고산대머리수리 고산대머리수리 정해년 설날을 즈음해 희귀새들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국내 미기록종인 수리과의 고산대머리수리(가칭`사진 오른쪽)가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됐다. 아마추어 탐조가인 박주현 씨는 18일 자신이 지난 11일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서 어린 고산대머리수리를 국내 최초로 관찰했..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21
박쥐의 마지막 안식처/제주 만장굴 박쥐의 마지막 안식처 제주 만장굴 제주도 북제주군 동김녕리에 있는 만장굴 제주 만장굴은 세계에서 가장 큰 용암 동굴로 알려져 있지만 해마다 3, 4천 마리의 박쥐들이 겨울잠을 자는 곳으로도 유명하다.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은 박쥐들이 모여 겨울을 난다는 박쥐들의 천국, 만장굴을 <까치>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