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로 백로,설명은 밑에 있어요,사진을 클릭해서 보면 멋있답니다 사진의 일부는 사진가: 문석곤(skmoon49)님 입니다 백로 종류(백로과)는 세계에 61종이 알려져 있고,우리나라에는 17종을 볼 수 있습니다. 흰색의 깃이 특징적이어서 백로로 이름이 지어졌지만, 실제로 백로종류(백로과)에는 다양한 색의 깃털을..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6
호랑지빠귀 [Zoothera dauma, White's ground thrush] 호랑지빠귀 [虎狼-, White's ground thrush] 참새목 딱새과의 조류. 학명 Zoothera dauma 분류 참새목 딱새과 크기 몸길이 약 29.5cm 색 갈색 바탕에 검정색 또는 흰색 비늘무늬 생식 난생(1회에 3~5개) 서식장소 낮은 산지 숲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동북부)·우수리·시베리아(남부) 몸길이 약 29.5cm이다. 깃은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6
까막딱따구리 [black woodpecker] 까막딱따구리 [black woodpecker]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의 조류. 학명 Dryocopus martius martius 분류 딱따구리목 딱따구리과 생활방식 나무에 구멍을 뚫어 둥지를 만듦 크기 날개길이 약 25cm 색 검정색(몸), 붉은색(수컷의 두부, 암컷의 후두부) 생식 알을 낳음 서식장소 산지(침엽수림) 분포지역 유럽, 아시아 북..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6
황새 [white stork] 먹이찾는 여름철새(?) 황새 천연기념물 199호인 황새가 28일 충남 서산시 천수만 논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황새는 매년 11월께 날아와 월동하고 2월께 돌아가는 겨울철새로 6월말 국내에서 관측된 것은 아주 드문 예다 황새 [white stork] 황새목 황새과의 조류. 학명 Ciconia boyciana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199..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후투티[hoopoe] 후투티[hoopoe] 후투티[hoopoe] 후투티목 후투티과의 조류. 학명 Upupa epops saturata 분류 후투티목 후투티과 생활방식 단독 또는 암수 함께 생활 크기 몸길이 약 28cm, 날개길이 약 15cm 색 분홍색을 띤 갈색 생식 1회에 5~8개의 알을 낳음 서식장소 구릉이나 야산 분포지역 북위 약 58 ° 이남의 구세계 전역 파랑..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도도새(dodo, 비둘기 비슷한 큰 새, 지금은 멸종-譯註) 진화: 도도새(dodo, 비둘기 비슷한 큰 새, 지금은 멸종-譯註)의 조상을 밝히는 DNA 이미지: 옥스퍼드 대학의 자연사박물관의 허가로 게재 멸종으로 인해 포스터에서만 그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도도새의 진화역사는 오랫동안 과학자들의 손길이 닿지 않았다. 인도양의 모리셔스(Mauritius: 인도양 남서부, M..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알바트로스[albatross] 알바트로스[albatross] 슴새목(―目 Procellariiformes) 알바트로스과(―科 Diomedeidae)에 속하며 해양에 서식하는 12종(種) 이상의 대형 조류(鳥類). 검은눈썹알바트로스(Diomedea melanophris) 육지에서는 온순하기 때문에 많은 알바트로스류의 이름이 몰리모크(mollymawk:독일어로 '바보갈매기'라는 뜻)와 구니(gooney)로..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천둥새(thunder bird)썬더버드 천둥새(thunder bird)썬더버드 천둥새(thunder bird)는 세계에서 가장 큰 새로 1900년대 쯤 실제로 있었던 새라고 합니다. 이 새는 뉴질랜드 쪽에서 6마리가 발견됐으며 4마리는 사람의 손에 죽었고 1마리는 자연사 했으며 1마리는 행방 불명이라고 합니다. 또한 이새는 300년 가량 살수 있으며 육식을 하는 새라..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뿔논병아리 [great crested grebe] 블로그 > 전기쟁이의 사진이야기 을숙도에서 졸면서 헤엄을 치네요^^ 엄마 등에 업힌 새끼 뿔논병아리 갓 태어난 뿔논병아리 새끼가 엄마 등에 타고 세상구경을 하고 있다. 뿔논병아리 어미는 새끼를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고 체온유지를 위해 등에 태우고 다닌다. 조류학자 윤무부(경희대) 교수는 "..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
벚꽃 구경온 붉은머리오목눈이[볍새] 블로그 > 전기쟁이의 사진이야기 벚꽃 구경온 붉은머리오목눈이[볍새] 2006.04월 용두산 공원에서 새·동물·곤충/새·조류 2007.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