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동물·곤충/동물·희귀

긴팔원숭이 [gibbon]

사오정버섯 2007. 3. 24. 12:04

긴팔원숭이 [gibbon] 

포유류 영장목(靈長目) 긴팔원숭이과에 속하는 소형 유인원류의 총칭.
 
학명  Hylobates
분류  포유류 영장목(靈長目) 긴팔원숭이과
분포지역  제3기에는 아프리카·유럽, 현재는 인도차이나·수마트라·자바 ·보루네오 등지
서식장소  열대우림
크기  몸무게 10kg 내외, 몸길이 약 60∼76cm

흰손긴팔원숭이 / 긴팔원숭이과, 팔이 유난히 길며, 이 팔로 나뭇가지에 매달려서 민첩하게 가지에서 가지로 건넌다.

흰손긴팔원숭이(Hylobates lar)·주머니긴팔원숭이(H.syndactylus) 등 7종이 포함된다. 긴팔원숭이의 계통은 제3기의 마이오세 또는 올리고세의 화석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매우 이른 시기에 분화를 이룬 것으로 밝혀져 있다. 제3기에는 아프리카·유럽에 걸쳐 분포하고 있었으나, 현재는 인도차이나 ·수마트라·자바·보루네오 등지에만 분포하고 있다. 흰손긴팔원숭이는 온몸이 흰 것과 검은 것 등 변이가 많은데, 어느 것이나 손목에서부터 끝으로는 희다. 몸무게는 10kg 내외이고 몸길이 약 60∼76cm에 달하며 꼬리는 없다.

팔이 유난히 길며, 이 팔로 나뭇가지에 매달려서 민첩하게 가지에서 가지로 건넌다. 지상을 보행할 때는 두 발로 걷는다. 주머니긴팔원숭이는 흰손긴팔원숭이의 2배 가까이 크며, 온몸이 새까맣고 큰 울음주머니가 있어 이것으로 약 4km까지 달할 수 있는 큰 소리를 낸다. 암수 1쌍과 그 새끼로 한 무리를 이룬다. 나무열매나 나뭇잎을 주식으로 하며 곤충이나 새의 알도 먹는다.

 

 

중국 남단 하이난성의 바왕링국립자연보호구역에서 한 암컷 하이난 긴팔원숭이가 갓 태어난 새끼를 안고 나무 위에 앉아 있다.
이 자연보호구역의 긴팔원숭이 숫자는 새끼 한 마리가 더 태어남에 따라 15마리로 늘었다. 하이난 긴팔원숭이는 멸종위기종으로, 중국에서 최고등급의 보호를 받고 있다. 【하이커우(중국 하이난성)=신화사/뉴시스】
 

                   

 

            

 

 

원숭이는 경고방송을 노래로
노래하며 위험 알리는 긴팔원숭이
2007년 01월 26일 | 글 | 김은영 기자ㆍgomu51@donga.com |
 
긴팔원숭이는 동료와 함께 살아남기 위해 노래를 부른다.
인간은 즐기기 위해 노래하지만 긴팔원숭이는 살아남기 위해 노래한다.

영국 성 앤드류 대학과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의 연합 연구팀은 지난 12월 26일 ‘퍼블릭 라이브러리 오브 사이언스’지를 통해 긴팔원숭이가 천적을 쫓고 주변에 위험을 알리기 위해 노래를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때 긴팔원숭이는 자신이 속한 무리의 원숭이 뿐 아니라 이웃에 사는 다른 원숭이에게도 정보를 전달한다.

긴팔원숭이는 아침에 짝을 지을 때마다 크고 또렷한 ‘러브송’을 부른다. 또한 이들은 천적을 만났을 때도 노래하듯이 큰 소리를 낸다. 그러나 이 소리의 의미와 영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풀기 위해 태국 카오아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긴팔원숭이의 습성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긴팔원숭이의 ‘노래’가 ‘와’, ‘우’, ‘와우’, ‘와우우우’ 등 7개의 기본 음절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음절이 어떻게 조합되느냐에 따라 다양한 노래 유형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아침에 부르는 ‘러브송’과 천적이 나타났을 때 부르는 노래를 각각 비교한 결과 두 노래의 첫 10음절이 서로 달랐다. 이는 첫 10음절을 부르는 시간을 놓치면 천적에게 피하기 더욱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천적이 나타났을 때의 노래는 바로 근처에서만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약한 소리로 시작된 뒤 멀리까지 퍼져 나가는 크고 빠른 소리로 바뀐다. 노래를 들은 동료들은 노래 부르기에 동참해 더 멀리까지 위험을 알린다. 이런 방식으로 긴팔원숭이는 주변의 동료 뿐 아니라 멀리 떨어진 다른 무리의 원숭이에게도 위험을 전할 수 있다. 자신의 무리에서 홀로 떨어져 있던 긴팔원숭이가 노래를 듣고 무리로 돌아오는 모습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긴팔원숭이는 여러 가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와 길이의 음성을 이용한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인간이 아닌 영장류도 음성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정보 전달을 한다는 중요한 증거”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