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동물·곤충/곤충류·나비

고추잠자리의 교미

사오정버섯 2007. 2. 23. 22:18

첨부이미지

[권오길의 자연이야기] 고추잠자리의 교미

아니! 저 가을 하늘에 무슨 ‘고추’가 저렇게 많이도 떠다닌단 말인가! 고추잠자리다! 여름 내내 높은 산에서 살던 녀석들이 늦가을이 되니 제가 태어난 고향, 물가로 알 낳기 위해 내려온 것이다. 우리나라에 사는 100여종의 잠자리 중에서 가을을 대표하는 배 붉은 고추잠자리 무리가 20여종이나 된다.

잠자리를 청령(청령), 청정(청정)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dragonfly’인데, 우리말로 풀어 보면 우습게도 ‘용파리’가 된다. 아무튼 놈들은 잠자리 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두 쌍의 날개는 앞뒤 모두 같고, 곱고 투명하다. 그래서 모시같이 얇고 고운 천을 ‘잠자리 날개 같다’라고 한다. 눈이 구슬만한 왕잠자리도 필자가 어릴 때는 흔했는데 이제는 눈을 닦고 봐도 없다. 인간이 마구잡이로 망나니짓을 해대니 잠자리까지 지구를 떠나고 있다.

잠자리는 식물의 조직 안, 축축한 흙, 물 속의 나무토막 같은 곳에서 산란한다. 2주일이면 부화하여 유충인 ‘수채(水채)’가 된다. 수채를 우리말로는 ‘학배기’라 부른다. 물 속의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1년에서 수년까지 물 속에서만 산다. 학배기는 턱이 발달해 장구벌레나 실지렁이, 올챙이, 다른 수채들도 거리낌없이 잡아먹는다. 이 학배기가 잠자리가 되면 올챙이와의 관계는 역전(逆轉)된다. 올챙이가 개구리로 변하면 거꾸로 개구리가 잠자리를 잡아먹으니 하는 말이다. 사람 팔자도 모른다.

수채는 물에 살면서 10~15번 껍질을 벗는다(탈피할 때마다 몸이 커진다). 잠자리 유충들은 항문과 연결된 직장(直腸)아가미나 꼬리 끝에 생긴 꼬리아가미로 숨을 쉰다. 직장아가미는 급할 때 물을 세차게 똥구멍으로 내뿜어(제트 분사) 앞으로 쭉 내빼는 데도 쓴다니 이거야말로 일거양득이다. 잠자리는 나비와는 달리 번데기의 과정을 거치지 않는 불완전변태(不完全變態)를 한다. 애벌레는 물 속의 생활이 끝날 때면 연못가 식물의 줄기로 기어올라 날개펴기(우화, 羽化)를 한다. 애벌레의 머리 부분과 가슴 부분이 부풀어 오르고 등짝이 Y자로 짜개지면서 드디어 잠자리가 빠져나온다.

잠자리 두 마리가 앞뒤로 나란히 달라붙어 날아다니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이것을 흔히 ‘결혼비행’이라 하는데, 그것은 교미를 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짝짓기하기 위한 전희(前戱, foreplay)행위다. 앞뒤로 붙어 나는 잠자리 중에서 어느 것이 암놈이고 수놈일까? 잠자리 수컷은 배 끝에 집게가 있어서 그것으로 암컷의 목줄기를 꽉 잡고는 그렇게 하늘을 날아다닌다. 앞의 것이 ♂, 뒤의 것이 ♀이라는 것을 짐작했을 것이다.

수컷과 암컷의 크기는 큰 차이가 없으나 수놈의 배(복부)가 훨씬 더 붉은 편이다. 수컷은 짝짓기할 시기가 되면 다른 수컷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순찰을 돌면서 심한 텃세를 부린다. 짝짓기 상대를 찾은 수컷은 암컷의 머리채를 낚아채고는 몇 분 동안 그렇게 끌고(사랑하며) 다닌다. 연못이나 웅덩이 주변의 풀밭에 자리를 잡고 짝짓기할 자세를 취한다.

암놈 생식기는 10개의 배 몸마디 중에서 9절(아홉째 마디)에 있다. 수놈의 교미기는 2개이다. 수놈도 9절에 생식기가 있고, 그것 말고도 2~3절에 부생식기(副生殖器)가 있다. 암컷이 여섯 다리로 수놈의 배를 거머쥐고 자기 몸을 둥글게 구부려 생식기를 수컷 가슴 부위에 있는 부생식기에 갖다 댄다. 수놈이 정자 덩어리를 부생식기에 붙여 두면 그것을 암놈이 받아가는 것이다. 그것이 짝짓기다. 아직도 목이 잡혀있으니 이때의 자세가 하트(heart) 모양과 비슷하다.

짝짓기가 끝났지만 암수가 여전히 달라붙어 있는 상태에서 연못이나 웅덩이에 알을 낳는다. 왕잠자리나 실잠자리는 창포 같은 부드러운 식물의 줄기에 배 끝을 대고 연(連)해서 알을 낳고, 그밖에 대부분의 잠자리는 물 속에 그냥 알을 떨어뜨린다. 잠자리가 물 위를 파문을 일으키면서 나는 것은 알 낳을 장소를 살피는 행위이다.

곤충은 어느 것이나 환경에 민감한 지표생물(指標生物)들이다. 과거에 그 많던 고추잠자리도 지금은 많이 줄어들었다고들 한다. 실제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모두가 자연 지킴이가 되어보자!

강원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okkwon@kangwon.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