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자료/유적·유물·사찰

은현리 적석총 [銀峴里積石塚]

사오정버섯 2007. 2. 15. 17:44

은현리 적석총 [銀峴里積石塚]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에 있는 삼국시대의 돌무지무덤.
지정번호 울산기념물 제8호
지정연도 1997년 10월 9일
소재지 울산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207-1 외
시대 삼국시대
크기 높이 6~7m, 길이 18.5~19.4cm, 너비 5~6m
분류 고분
본문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웅촌에서 5km 지점인 새검단마을 오른쪽 서리마을 뒷산에 있다. 삼국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대부분 붕괴되어 확실한 구조를 알 수 없다.

자연석으로 쌓은 네모형 기단부는 1변의 길이가 약 20m에 이른다. 높이는 6~7m, 길이 18.5~19.4cm, 폭 5~6m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상단부로 올라갈수록 피라미드와 같이 계단상의 좁은 형태를 이루고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돌무지무덤]에서 약 30m 주위에 경계를 표시하는 돌을 쌓았는데, 마을 사람들은 이것을 보고 산성이라 부른다. 현재 기단부에는 계단처럼 쌓은 흔적이 남아 있다. 돌무지무덤은 속전으로 전해오는 우시산국()의 국읍이었던 검단분지에 ‘마고해미’가 쌓았다는 민보유지()와 관계되는 유적으로 추측된다.

사적 제214호로 지정된 산청군 금서면에 있는 전구형 왕릉과 비슷하나, 규모는 더 컸다고 전해오고 있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석촌동 백제시대 초기 고분과 같은 형태로 추정되는 돌무지무덤이다.

 


울산의 옛 이름이었던 우시산국(于尸山國)은 이곳 웅촌면과 웅상면 일대에 자리 잡고 있었다. 우시산이 울산으로 바뀌게 된 것도 우시산의 '시'(尸, 이두에서는 'ㄹ'로 표기)가 '우'와 합쳐져서 '울'이 된 것이라고 했다.

울산이라는 이름이 기록에 처음 나타나는 때는 조선 태종 때 서기 1413년이라고 한다. 웅촌면과 웅상면을 아우르고 있는 울주란 이름도 고려 현종 9년, 서기 1014년부터 사용하였고, 그 이전에는 울산을 공화(恭化), 흥례(興禮), 하곡(河谷), 굴아화(屈阿火)로 불렀다고 전해진다.



삼국시대 초기, 고구려인들이 남쪽으로 내려오면서 세웠다는 우시산국의 중심지는 지금 우리가 가고 있는 이곳 웅촌면 검단리였다고 한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 3대왕 석탈해 때 '거도'라는 사람이 이곳 우시산국으로 쳐들어 와 신라에 합병시킨 것으로 되어 있다.

"적석총은 대부분 고구려 무덤에서 볼 수 있는데, 이곳에 적석총이 있는 걸 보면 우시산국의 지배층이 고구려인이었다고 볼 수도 있겠지요? 이 무덤의 주인도 고구려인이었을 가능성이 크고."

"그럴 수도 있겠지요. 하지만 경남 산청에 있는 가야시대 마지막 왕의 무덤도 돌무덤이지 않습니까. 구형왕릉 말입니다."

그렇다면 이 돌무덤의 주인은 대체 누구일까. 혹시 우시산국을 세운 지배계층은 고구려인이 아니라 가야인은 아니었을까. 섣부른 추정은 금물이다. 선무당이 멀쩡한 사람을 잡는다는 우리네 속담도 있지 아니한가. 학자들의 추정에 따르면 이 돌무덤의 주인은 남쪽으로 내려온 고구려 사람일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옛 우시산국의 터전이었던 이곳 정족산 보골봉 기슭에 자리 잡고 있는 은현리 적석총은 어른 머리통만한 자연석을 차곡차곡 쌓아 만든 삼국시대 초기의 돌무덤이다.

1997년 10월 9일, 울산광역시 승격과 더불어 울산광역시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된 이 돌무덤은 무덤 지름이 20m, 높이가 6~7m에 이를 정도로 몹시 크다. 일종의 피라밋 형태를 띤 이 적석총은 언뜻 바라보면 구형왕릉과 비슷하다.

만약 원형 그대로 있었더라면 구형왕릉과 거의 같은 모습이었을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지금은 무덤 일부가 무너져 정확한 구조는 잘 알 수 없다. 근데 이 마을주민들은 이 돌무덤 아래 있는 자그마한 저수지를 쌓을 때 이 돌을 사용했다고 자랑스레 말한다.



"그때까지만 해도 우리들은 저 돌무더기가 무덤인 줄 까맣게 몰랐다 아이가. 그저 지나는 사람들이 소원을 한 가지씩 빌며 돌을 던져 그렇게 쌓인 것인 줄로만 알았다카이."

이렇게 말하는 마을사람들이 무슨 죄가 있겠는가. 마을사람들 말마따나 그때까지만 하더라도 이 돌무덤이 지방문화재로도 지정되지 않았을 때였으니까. 아니, 실제로 이 마을사람들의 말이 맞는 것인지도 잘 모른다. 내 어릴 때까지만 해도 규모는 이 돌무덤보다 훨씬 작았지만 이런 형태의 돌무덤은 내 고향 곳곳에서도 흔히 볼 수 있었으니까.

누군가 이 돌무덤을 발굴을 해보지 않는 한 정확한 사실은 알 수가 없다. 하지만 학자들은 이 돌무덤의 형태로 보아 서울 송파구에 있는 백제시대 무덤인 석촌동 3호분과 석촌동 4호분처럼 네모꼴로 기단을 마련, 그 위에 돌을 쌓아올렸을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한 가지 특이한 것은 이 돌무덤으로부터 대략 30m 거리에 어른 허리춤에 이르는 돌담이 남아 있다는 것이다. 이 돌담은 아마도 이 무덤의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돌담은 피라밋 돌무덤으로 유명한 구형왕릉 주변에도 남아 있다.

돌무덤 아래에는 누군가 낚시를 했던 흔적이 남아 있는 조그만 산장호수 하나가 흙탕물을 출렁이고 있다. 아마도 며칠 전 쏟아진 장맛비에 씻겨 내려온 황토 때문이리라. 저 호수도 자연적으로 생겨난 호수가 아니다. 이 지역 주민들이 가뭄 때 논에 물을 대기 위해 이 돌무덤의 돌을 사용해 만든 인공저수지다.

저수지 못둑에는 흑염소 서너 마리가 풀을 뜯고 있다. 우리 일행이 다가서자 흑염소 몇 마리가 놀란 듯 못둑 아래로 달아난다. 그 중 고삐가 매인 흑염소 한 마리가 우리 일행과 돌무덤을 번갈아 바라보며 '메에에~' 하고 운다. 마치 저 돌무덤 주인의 영혼을 불러내 자신을 보호하려는 듯이.

 

▲ 우시산국은 고구려인이 내려와 세운 국가라는 설이 있다
☞가는 길/ 서울-울산-신복로터리-울산대-부산쪽-웅촌 3km-검단마을 입구 삼거리-은현리-검단초등학교-은현리 적석총  

 주변꽃

 

 잠자리

 

주변 마을
 

 

글 : [오마이뉴스 이종찬 기자]님의글입니다

 

사진은 사오정이 찍은사진으로 바꿨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