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들 [Typha lafifolia linne,Typha orientalis Presl,Kogama]
목 명 부들목 한 글 부들
과 명 부들과 한 자 香蒲
속 명 향 명 포초, 향포, 소향포, 약(蒻), 갈포, 포채, 칠비(제주)
구 분
학 명 Typha orientalis Presl,Typha lafifolia linne
일 어 Kogama
영 문
일반정보
원산지 한국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형 태 다년초.
크 기 높이 1~1.5m.
잎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폭 5~10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감싸고 있다.
꽃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는 3~10cm이고 자화수는 바로 밑에 달리며 길이 6~12cm이고 화수에 달린 포는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에는 화피가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화분이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소포가 없으며 자방에 대가 있고 암술머리는 주걱 비슷한 피침형으로서 자방 밑에서 돋은 털과 길이가 비슷하다.
열 매 핫덕(Hot-Dog) 비슷한 모양의 과수(果穗)는 길이 7~10cm로서 긴 타원형이며 적갈색이 난다.
줄 기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뿌 리 근경은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생육환경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란다.
▶부식질이 많은 점질양토에서 잘 자라며, 비교적 습지이면 토양은 가리지 않는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실생 또는 분주로 번식한다. 분주는 이른봄에 행한다.
개화기 7월,8월 꽃의 색 노란색
재배특성
양성식물로 노지에서 월동 생육한다.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며 환경내성이 강하고 이식이 용이하다.
재배작형 파종기 이식기 결실기 10월 삽목기
이용방안
▶과수와 잎은 꽃꽂이 소재로 이용되며, 마른 소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연못 또는 수재화단에 이용되며, 오염된 하수구 주변에 심으면 좋다.
▶잎은 공예품이나 방석을 만든다.
▶全草(전초)는 香蒲(향포), 어린 莖(경)의 根莖(근경)은 蒲蒻(포약), 花序(화서)는 蒲黃(포황), 果穗(과수)는 蒲棒(포봉)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香蒲(향포)
①성분 : 전초에는 다량의 vitamin B1, B2, C가 함유되어 있고 칼슘의 함유량은 극히 소량이다.
②약효 : 이뇨약으로서 小便不利(소변불리), 乳癰(유옹-화농성유선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분말, 燒灰(소회)하여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製劑(제제)하여 사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蒲蒻(포약)
①어린 줄기 일부가 붙은 근경이며 봄에 채취한다.
②성분 : 근경에는 탄수화물이 60-81%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消腫(소종), 凉血(양혈), 이뇨의 효능이 있다. 姙婦(임부)의 勞熱(노열), 胎動出血(태동출혈), 消渴(소갈), 口瘡(구창), 熱痢(열리), 淋病(임병), 白帶下(백대하), 水腫(수종), 瘻 (누력)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이거나 搗汁(도즙)하여 복용한다.
⑶蒲黃(포황)
①꽃이 피어날 때 부들 상부의 雄性花穗(웅성화수)를 채취하여 햇볕에 건조하여 花粉(화분)을 떨어 모아 粉末(분말)한다.
②성분 : 화분에는 isorhamnetin의 glycoside, pentacosane, 精油(정유) 및 지방유가 약 10%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止血(지혈), 活血(활혈), 消瘀(소어)의 효능이 잇다. 신선한 것은 經閉腹痛(경폐복통), 産後瘀沮(산후어저)에 의한 疼痛(동통), 打撲瘀血(타박어혈), 瘡癤腫毒(창절종독)을 치료하고 黑炒(흑초)한 것은 토혈, 鼻出血(비출혈), 자궁출혈, 혈변, 혈뇨, 帶下(대하)를 치료한다. <외용 > 重舌(중설), 口瘡(구창), 耳漏(이루), 耳中出血(이중출혈), 陰下濕痒(음하습양)을 다스린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하여 살포하거나 調布(조포)한다.
⑷蒲棒(포봉)
①약효 : 외상출혈을 치료한다.
2007.07.21일 사오정
홧도그인줄 알았네요~^_^~
여름의 호수를 서정적으로 장식하는 수초가 바로 부들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고 끝에서 갈색을 띤 암꽃이 소시지 모양으로 달린다. 전체에 털이 없어서 매끄럽다. 잎은 두껍고 곧게 펴지며 중앙에서 꽃줄기가 자란다. 잎 아래쪽에서 줄기를 서로 감싸며 마디가 있다. 물에서 살지만 뿌리만 진흙에 박고 있을 뿐 잎과 꽃줄기는 물 밖으로 드러나 있다. 따라서 얕은 연못이나 강에서 자라고 물이 불었다 줄었다 하는 냇가의 진흙에도 넓은 군락을 이룬다.
잎과 줄기가 깨끗하다. 조용한 호수에 그림자를 드리운 부들은 강변의 서정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조금도 구부러짐이 없는 강직한 줄기 끝에 한 마리의 잠자리라도 앉으면 수면에 어리는 잔영과 함께 기막힌 풍경을 이룬다. 동양 정원에서 갈대와 부들이 없다면 연못은 허전하기 짝이 없다.
수면을 채우는 연꽃과 수련, 마름 같은 수초만으로는 동양적인 서정을 표현하기에 역부족이다. 연꽃만 심어진 연못은 조연 없이 주연만으로 채워진 모노 드라마 같은 것이 된다. 동양식 정원을 꾸밀 때 반드시 갈대와 부들을 함께 심어 주어야 하는 것은 주재료와 부재료가 서로 어우러지도록 하려는 뜻이다.
우리 나라에서 자라는 부들에는 4종류가 있다. 큰부들, 부들, 애기부들, 좀부들이 그 것이다. 부들은 화서가 크고 굵으며 수꽃이 암꽃의 바로 위에 붙는다. 그에 비해 애기부들은 암꽃이 가늘고 수꽃도 가느다란 것이 암꽃과 사이를 두고 위쪽에 붙는다.
좀부들은 암꽃의 화서가 비엔나 소시지 모양으로 타원형을 하고 있다. 부들과 애기부들이 다년초인데 비해 좀부들은 1년초이며 얕은 물이 있는 곳이나 습지에서 자란다. 좀부들은 최근에 중부지방에 서식하는 것이 밝혀진 북방계 식물이다. 잎의 모양도 가늘고 전체적으로 규모가 작은 수초이다.
옛날부터 부들 줄기를 갈라 짠 돗자리는 최고급으로 쳤다. 잎도 말려서 자리를 짜거나 발, 멍석을 만들었다. 또 방석, 소쿠리 등을 짜면 오래도록 쓸 수 있고 보푸라기가 생기지 않아 감촉도 좋다.
전한 시대에 씌어진 《예기(禮記)》에는 부들 자리가 왕실에서도 쓰였다는 것을 말해 준다. "왕이 목욕할 때는 두 가지의 수건을 쓰는데 상체는 부드러운 갈포 수건으로 닦고 아래는 거친 수건을 쓴다. 욕탕에서 나와 부들 돗자리에 서서 가운을 걸치고 몸을 말린다." 라고 목욕할 때의 예절을 자세히 기록해 두었다.
중국의 고전 《시경(詩經)》에는 부들을 남성에, 연꽃을 여성에 비유하여 정답게 자라고 있는 정경을 노래했다.
저기 저 연못에는 부들과 연꽃이라
고운 님이시여 내 시름 어찌 할거나
자나깨나 님 그리워 일손 놓고 눈물 흘리네
彼澤之陂 流布如何
有美一人 傷如之何
寤寐無爲 涕泗滂?
부들과 연꽃이 피어 있는 연못가에서 한 여인이 멀리 떨어져 있는 남자를 그리워한다는 노래의 일절이다. 부들은 그 생김새가 남성적이고 연꽃의 잎은 여성스럽다는 것에서 남자와 여자가 서로 가까이 있으면 얼마나 정다운가. 그러나 나는 홀로 있으니 눈물만 흐른다고 그리운 마음을 호소하고 있다.
이처럼 부들은 예로부터 시가(詩歌)에서 남성에 비유되곤 했다. 육상에서 소나무와 대나무를 남성에, 매화와 버들을 여성에 비유하는 것과 같다.
부들은 약으로도 쓰인다. 6∼7월에 익는 부들 꽃가루는 노란 색이고 위쪽 수꽃 화서를 온통 황색으로 뒤덮는다. 수꽃의 꽃가루주머니가 벌어지기 전에 수꽃만을 잘라 비닐 같은 것을 깔고 말리면 노란 꽃가루가 떨어진다. 줄기를 잡고 가볍게 흔들면 많은 꽃가루를 얻을 수 있다. 바람이 없는 날에 작업을 하는 것이 좋고 큰 비닐 봉지에 넣어서 작업을 하면 날아갈 염려가 없다.
한방에서는 이 꽃가루를 포황(蒲黃)이라 한다. 중요 성분으로는 이소 람네틴(Iso rhamnetin), 팔미틴 산, 스테아린 산과 약간의 지방질로 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이뇨제, 지혈제, 통경제, 염증 치료제로 쓴다. 특히 산후 복통, 폐경으로 아랫배가 늘 더부룩할 때 포황이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요법으로는 잎을 달여 당뇨병에 쓰고 방부제, 염증 치료제로도 쓰인다. 특히 상처가 곪았을 때 포황을 뿌리면 상처 부위가 빨리 아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봄철 돋아나는 어린 싹을 나물로 했다는 기록도 있다. 중국 동북지방에서는 지금도 요리의 재료로 쓰인다. 그러나 독성이 있으므로 해독 방법을 터득하지 않고 함부로 먹어서는 안된다.
근경은 근경대로 약재로 쓴다. 잎줄기의 아래쪽 흰 부분과 근경을 한데 달여 장출혈, 괴혈병, 사마귀와 종기를 치료하는데 쓴다.
처방으로는 부인병에 부들꽃가루(蒲黃)와 당귀, 생지황 각각 5g에 호박, 작약, 계피 각 2g를 200㎖ 되게 달여 하루 3번씩 나누어 마신다. 바로 포황산(蒲黃散)이다. 포황은 약간의 독성이 있으므로 임산부는 쓸 수 없다.
《동의보감(東醫寶鑑)》에는 "부들(蒲黃)은 맛이 달다. 생으로 먹으면 좋지 않고 볶아서 쓰면 몸에 이롭다"고 했다.
꽃가루는 양봉업자들에게 더할 수 없이 고마운 것이다. 부들의 꽃가루를 모아 꿀벌의 겨울 양식으로 주면 그만큼 사료가 절감된다.
부들의 이름은 암꽃 화서의 질감에서 따온 말이다. 부드럽다는 우리말에서 부들이 생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부들, 부드리라고도 부른다. 한자로는 포초(蒲草), 향포(香蒲), 초포황(草蒲黃), 포화(蒲花), 포봉두화(蒲棒頭花), 수납촉화분(水蠟燭花粉) 등이다.
《성경통지(盛京通志)》에는 "부들(香蒲)의 꽃가루는 먹을 수 있고 약으로 쓰는데 포황(蒲黃)이라 한다"고 적었다. 당시에는 꽃가루를 모아 송화처럼 식용으로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옛 문헌만 믿고 함부로 먹으면 위험하다.
이수광(李?光)의 《지봉유설(芝峰類說)》에는 부들과 갈대, 창포를 같은 종류로 보고 있다. "부들에는 세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수초(水草)로서 자리를 만들고, 하나는 포류(蒲柳)로서 화살대를 만든다. 또 하나는 창포(蒼蒲)이니 약으로 쓴다."고 했다. 화살대로 쓸 수 있는 것은 갈대이며, 창포는 지금도 약으로 쓴다. 돗자리를 짜는 수초가 바로 부들이다.
옛날에는 부들의 어린 싹을 나물로 먹었던 같다. 《본초(本草)》에는 "부들의 싹을 향포(香蒲) 또는 감포(甘蒲)라 한다. 이른봄에 나는 어린 싹을 씹으면 부드럽고 달착지근하다. 맛이 매우 좋아서 겉절이를 담가 먹고 젓갈에 찍어 먹는다"고 했다. 또 예로부터 소금에 절인 부들 싹을 포저(蒲?)라 하여 봄철 미각으로 즐겼다.
부들은 1년만에 거의 1.5∼2m까지 자란다. 따라서 수절 정화 능력이 있는 자원식물이다. 최근 양수리 근처의 한강변 수질정화식물로 부들을 심겠다고 한다. 그러나 부들 줄기와 잎의 대량 사용처가 마땅치 않다. 같은 수초 중에 갈대, 줄, 달뿌리풀처럼 잎을 사료로 하거나 가을에 벤 것은 제지용으로 대량 소비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벼과식물은 목초로, 공예용으로, 제지용으로 쓸 수 있다. 그러나 부들은 아직 적당한 소비처를 찾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런 처지에 부들을 많이 심는다면 가을에 잎이 시들고 나면 다시 줄기를 베는 데 많은 노력과 경비가 들어가야 한다. 그대로 두면 겨울에 묵은 잎이 물 속에 잠겨 또 다른 수질 오염원이 된다. 따라서 부들의 사용처를 먼저 고려한 다음 대량 식재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부들의 암꽃에서 씨가 완전히 익으면 솜털처럼 부풀어오른다. 이것을 모아 방석의 솜 대신 쓸 수 있다.
이규보(李圭報)는 그의 시에서, "술을 마시고 함께 좋은 차까지 맛보며 / 부들방석(蒲團)에 앉으니 말이 필요 없네" 라고 했다. 부들방석은 솜방석보다 부드럽고 푹신했던 것 같다.
한(韓)의 여불위(呂不韋)가 편찬한 《여씨춘추(呂氏春秋)》 존사(尊師) 편에, "삼으로는 신을 삼고 토끼 잡는 그물과 어망을 짜며, 부들과 갈대로 발을 엮는다. (織?? 結?網 嘴蒲葦)"고 했다. 또 사절(士節) 편에는, "제(齊)나라에 북곽소(北廓騷)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부들과 갈대로 자리를 짜고 삼으로 신발을 삼아서 어머니를 봉양하였다. (齊有北郭騷者 結?網 嘴蒲葦 織?? 以養其母)" 고 적었다.
부들과 갈대는 줄기로 발을 엮고 잎은 돗자리를 짜는 중요한 소재였음을 알 수 있다. 민초들의 삶이란 풀잎으로 짠 자리를 깔고 갈대 줄기로 지붕을 이는 소박한 것이었다. 그 때문에 검소한 생활을 일컬어 부들로 자리를 짜고 삼으로 신발을 삼는다고 표현한 것 같다.
옛날에는 부들의 솜털을 거두어 병사들의 겨울 방한복으로 사용했다는 기록도 보인다. 서민들은 부들의 솜털을 모아 이불솜 대신 덮고, 부들솜을 넣은 누비옷을 입고 겨울의 혹한을 이겨내기도 했다.
부들의 꽃은 여름철 꽃꽂이 소재로 널리 쓰인다. 독특한 아름다움과 직선의 시원스런 멋을 살린 꽃꽂이 작품은 소재 자체가 현대적 감각을 지니고 있어 최근에 인기가 높다.
그러나 이처럼 아름다운 수초도 하천 정화사업이란 이름 아래 계속되는 공사장의 포크레인 삽날에 무참히 잘려나가고 있다. 수질오염이 가속화 할 것은 물론 생명자원마저 사라질 것이고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야생화 구경하기 > 여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합 [百合,Easter Lily] (0) | 2007.07.23 |
---|---|
금꿩의다리 [Thalictrum rochebrunianum] (0) | 2007.07.23 |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0) | 2007.07.23 |
부용 [부용화,목부용,Hibiscus mutabilis,Cotton Rose] (0) | 2007.07.21 |
옥살리스 [사랑초,Oxalis] (0) | 2007.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