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여러 나라의 국화(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1990)
국명 |
국화명 |
학명 |
과명 |
과테말라 |
리카스테난(난) |
Lycaste shinneri |
난과 |
그리스 |
향제비꽃 |
Viola odorata |
제비꽃과 |
올리브(준국화) |
Olea europaca |
목서과 | |
남아프리카 |
프로테아 |
Protea |
프로테아과 |
네델란드 |
튤립 |
Tulipa gesneriana |
백합과 |
네팔 |
석화의 일종 |
Rhododendron arboreum |
철쭉과 |
뉴질란드 |
회화나무 |
Sophora tetraptra var. grandflora |
콩과 |
木生고사리류(준국화) |
|||
대한민국 |
무궁화 |
Hibiscus syriacus |
아욱과 |
덴마크 |
붉은클로버 |
Trifolium pratense |
콩과 |
도미니카 |
마호가니 |
Swietenia mahogani |
멀구슬나무과 |
독일 |
센토레아 |
Centaurea cyanus |
국화과 |
레바논 |
레바논삼나무 |
Cedrus libani |
소나무과 |
루마니아 |
장미의 일종 |
Rosa alba |
장미과 |
마다가스카르 |
부채잎파초 |
Robenala madagascariensir |
파초과 |
멕시코 |
달리아 |
Dahlia |
국화과 |
버마 |
사라쌍수 |
Shorea robusta |
소레아과 |
베네수엘라 |
타베비아 |
Tabeuia Chrysantha |
능소화과 |
볼리비아 |
꽃고비 |
Potemonium caeruleum |
꽃고비과 |
칸투아(준국화) |
Cantua buxifolia |
꽃고비과 | |
브라질 |
카를레야 |
Cattleya labiata |
난과 |
소련 |
해바라기의 일종 |
Helianthus sp. |
국화과 |
스리랑카 |
연꽃 |
Nelumbo nucifera |
수련과 |
스웨덴 |
은방울꽃 |
Convallaria majalis |
백합과 |
스위스 |
에델바이스 |
Leontopodium alpinum |
국화과 |
알핀로즈 |
Rhododendron ferrungingineum |
철쭉과 | |
스페인 |
감귤의 일종 |
Citrus sinensis f. nalta de Clabra |
은행과($운향과?) |
석류(준국화) |
Punica granatum |
석류과 | |
아르헨티나 |
피토라카.세이보 |
Phytolacca dioica |
자리공과 |
영국 |
장미 | ||
스코틀란드 |
엉겅퀴의 일종 |
Cirsium vulgare |
국화과 |
아일란드 |
흰클로버 |
Trifolium repens |
콩과 |
웨일즈 |
수선화의 일종 |
Narcissus obvallaris |
수선화과 |
잉글란드 |
장미 |
Rosa centifolia |
장미과 |
오스트리아 |
에델바이스 |
Leontopodium alpinum |
국화과 |
우루과이 |
에리스리나 |
Erythrina cristagalli |
콩과 |
이란 |
야생튤립의 일종 |
Tulipa sylvestris |
백합과 |
이스라엘 |
올리브 |
Olea europaea |
목서과 |
이탈리아 |
데이지 |
Bellis perevnis |
국화과 |
인도 |
양귀비 |
Papaver somniferum |
양귀비꽃과 |
인도네시아 |
자스민의 일종 |
Jasminum sambac |
목서과 |
일본 |
벚꽃 |
Prunus sp. |
장미과 |
국화 |
Chrysanthemum morifolium |
국화과 | |
중국 |
매화 |
Prunus mume |
장미과 |
체코슬로바키아 |
보리수($??) |
Tilia europaea |
참피나무과($??) |
칠레 |
라파게리아 |
Lapageria rosea |
백합과 |
카나다 |
사탕단풍 |
Acer sacchrum |
단풍나무과 |
카메룬 |
수련의 일종 |
Nymphaea sp. |
수련과 |
콜롬비아 |
카틀레야 |
Cattleya sp. |
난과 |
쿠바 |
헤디키움 |
Hedychium coronarium |
생강과 |
태국 |
수련의 일종 |
Nympihaea sp.($??) |
수련과 |
터키 |
야생튤립 |
Tulipa sylvestris |
백합과 |
파키스탄 |
수선화의 일종 |
Narcissus sp. |
수선화과 |
페루 |
해바라기 |
Helanthus annus |
국화과 |
포루투갈 |
라벤둘라 |
Lavendula vera |
차조기과 |
폴란드 |
팬지 |
Viola tricolor |
제비꽃과 |
프랑스 |
붓꽃의 일종 |
Iris florentiana |
붓꽃과 |
핀란드 |
은방울꽃 |
Convellaria majalis |
백합과 |
필리핀 |
자스민의 일종 |
Jasminum sambac |
목서과 |
호주 |
꽃아카시아 |
Acasia dealbata |
콩과 |
유카리나무(준국화) |
Eucalyptus sp. |
도금양과 | |
프로테아(준국화) |
Protea speciosa |
프로테아과 |
--우리나라 국화인 '무궁화'의 꽃 말은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꽃"
--독일 '쎈토레아'는 독일의 황제를 상징하는 꽃으로 권위있는 꽃 말이 굳어져 나라꽃이 되었다.
--불가리아는 '장미'인데 옛날 다마스커스에 이스람의 수도승이 아름다운 소녀와 금지된사랑을 하게되어 신의 노여움으로 소녀가 장미로 변하였는데,이를 슬퍼한 수도승이 장미를 심을 땅을 찿아 헤메이다 불가리아에 다다라서 아름다운 꽃을 피우게되었는데 이러한전설이 장미를 국화로 삼게 되엇다.
--아르젠티나 '아메리카디코이'인데 이꽃나무가 자라는 현지명은 세이보라하고, 이나무가 자라면 그 토지는 수몰되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다.
--영국은 '장미'로인식되고 있으나 원래는 왕실의 휘장으로 사용하였는데 일반 시민들도 사랑하는꽃이 되어 국화처럼 인식되었다.
스콧트랜드는 엉겅퀴의 가시가 많은 잡초였는데, 옛날 덴마크의 바이킹들이 처들어왔을때 엉겅퀴가시에 찔려 비명을 지르고 자국민들이 피난하여 위기를 모면하였다는 전설에서 국화로 인정하엿다 한다.
웨일즈의 국화는 원래 냄새나는 부추의 일종이었는데 영국인들이 남을 비웃을때 부추를 씹는다 하여 '수선화'로 비뀌엇다.
--일본은 '벗꽃'과 '국화'로써 벗꽃은 국토의 대부분에 자생하여 자국민과 친숙한 역사,전설,등의 국민감정에 따라 정하였으며, 일본 황실의 문장이었던 국화는 세계2차대전이후 우표,화폐등에 사용하면서 국화로 쓰게 되었다.
--중국은 역사상 가까운 꽃은 부귀영화와 아름다움의 상징인 '모란' 이었으나 중국의 홍군이 모택동을 따라 혁명을 했을때부터 매화의 아름다움과 강인함에 반하여 국화로 인정하는 추세에 잇다.
--카나다는 꽃이 아니고 수목인 '사탕단풍'으로 산림왕국의 상징성과 실용성으로 국화로 선택 되엇다.
--파키스탄은 수선화의 일종인 '제스민'으로 회교의 교의에 따라 공공시설이나 회의에 향을 지녀야하는 특성상 생활속에서 시작되엇다.
--프랑스 '아이리스' 는 흰붗꽃의 일종으로 루이왕조의 문장으로 사용되어 권위의 상징에서 프랑스의 상징으로 사용되고 잇다.
--시리아 아랍공화국은 '살구꽃'을 회교도의 중요한 행사의 한가지인 단식후 살구주스를 처음으로 마시게되는 인연으로 친숙함을 느껴 국가의 꽃에 준하는 애호의 꽃이 되었다.한다.
*참고로 세계국가들은 국'화'를 지정하지 않는 나라도 있구요, 또 2개씩 있는 나라도 있읍니다. --참 북한은 '모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