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자료/유적·유물·사찰

은진미륵(恩津彌勒),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

사오정버섯 2007. 4. 2. 15:27

            은진미륵(恩津彌勒),관촉사,석조미륵보살입상 [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灌燭寺石造彌勒菩薩立像]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灌燭寺)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불.
 
지정번호  보물 제218호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소장  관촉사
소재지  충남 논산시 관촉동
시대  고려시대
크기  높이 l8.12m
종류  석불
관촉사 석조미륵 보살입상 / 충남 논산시 은진면 관촉사. 보물 제218호. 고려시대.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218호로 지정되었다. 화강석제.

높이 l8.12m나 되는 커다란 불상이라는 점과 토속적인 조각이라는 점에서 대표적인 불상이다. 얼굴은 이마가 좁고 턱이 넓은 삼각형이며 옆으로 길게 째진 눈, 넓은 코, 한 일(一)자로 꼭 다문 큰 입이 토속적인 느낌을 준다. 목은 굵고 삼도(三道)가 있으며 귀는 어깨까지 내려와 매달린 느낌이다.

몸은 거대한 돌을 원통형으로 깎아 만든 돌덩이에 불과하여 인체라는 느낌은 전혀 없으며, 왼손은 아래로 내려 엄지와 중지를 맞대고 있는 모습이 관음보살인 것 같다. 어깨에 걸쳐 입은 가사는 어깨에서 양쪽으로 길게 내리고 있으며, 가로무늬가 있고 몸 중앙으로 몇 개의 U형 옷주름을 돌렸을 뿐 매우 단조롭다.

이 불상은 968년(고려 광종 19)에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관촉사[灌燭寺]
관촉사석조보살입상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관촉리 반야산(般若山)에 있는 절.
 
관촉사 석문, 충남 논산시 관촉동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麻谷寺)의 말사이다. 968년(광종 19) 혜명(慧明)에 의해 창건될 때 조성된 석조미륵상이 발산하는 빛을 좇아 중국에서 명승(名僧) 지안(智眼)이 와 예배했다고 하여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국내 최대 석불상인 은진미륵의 정식명칭은 석조미륵보살입상 이라 부른다. 중국서 온 스님이 석불에 예배를 하고 “마치 촛불을 보는 것 같이미륵이 빛난다” 고 찬양한데서 ‘ 觀燭寺’ 라고 하며 훗날 다시 관촉사(灌燭寺)로 고쳐 전해지고 있다

법당은 1386년(우왕 12) 건립해 1581년(선조 14)과 1674년(현종 15)에 중수했으며 1735년(영조 11) 다시 중수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경내에는 관음전·삼성각(三聖閣)·사명각(四溟閣)·해탈문·현충각 등의 당우가 남아 있으며, 석조보살입상(보물 제218호)과 석등(보물 제232호)을 비롯해 사리탑·연화배례석·사적비 등이 있다.
 
[관촉사석조보살입상]
 
관촉사석조보살입상, 보물 제218호
관촉사에 있는 고려 초기의 석조보살입상. 보물 제218호. 높이 18.2m. 거불(巨佛)로 예로부터 은진미륵(恩津彌勒)으로 널리 알려진 불상이다. 〈동국여지승람 東國輿地勝覽〉 권18 은진조와 1744년(영조 20)에 세워진 사적비(寺蹟碑)를 보아 광종연간(950~975)에 승려 혜명이 조성한 불상임을 알 수 있다. 이 상의 특징은 우선 크기에서 느껴지는 위압감으로 불상예배의 경외심을 돋우어주는 신앙적인 효과가 크다. 이러한 위압감은 얼굴과 손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크게 표현되어 그 효과가 더욱 강조되었다. 상의 크기에 비해 불신(佛身)의 표현은 소홀하여 어깨가 좁고 가슴이나 허리의 구분이 별로 없는 원통형이다. 천의(天衣)의 표현이나 옷주름도 매우 단순하다. 이마 위에 늘어진 곱슬곱슬한 머리카락이나 두 귀의 가운데로 걸쳐 있는 보발(寶髮)의 표현, 허리 밑으로 늘어진 앞치마처럼 생긴 둥근 옷자락의 표현 등은 고려초 보살상들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특징들이다. 이러한 특징은 강릉 신복사지석조비로자나불상(神福寺址石造毘盧遮那佛像)이나 연산의 개태사석조삼존불(開泰寺石造三尊佛)의 협시보살상과 같은 고려 초기의 불상들에서도 볼 수 있는데, 관촉사 불상은 보다 도식화된 면을 보여준다. 높은 원통형의 관(아마도 금속관이었을 것이나 지금은 없어짐) 위에 다시 사각형의 이중 보개(寶蓋)를 얹고 있는 것이라든지 연화가지를 들고 있는 수인(手印) 등은 도상(圖像)면에서도 매우 특이한 요소이다. 보개는 중국의 상에서는 보이지 않는 요소로, 아마도 상을 보호한다는 의미 또는 상의 위용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로 제작된 것이 아닌가 한다. 이러한 독특한 모습의 보살상은 이후 고려에서 유행하여 비슷한 상이 여럿 조성되었는데, 그중에 부여 대조사(大鳥寺)의 석조보살입상이 대표적이다. 백호(白毫)를 수리할 때 발견된 묵기(墨記)에 "正德十六年辛巳四月十五日"이라고 적혀 있어 조성시기의 파악에 참고가 된다.

 

 

멀리 관촉사가 보이네요~오늘은 황사가 심해 시야가 좋지않아요

 

 

관촉사 입구 입니다

 

 

들어갑니다

 

 

 

여기 오기 직전에  매표소가 있는데~제가 아침 일찍이라 직원이 없네요~실례합니다

 

 

 

잠시 계단을 올라갑니다

 

대웅전이 먼저 나오네요 여기서 우측에 은진미륵불이 있답니다

 

 

윤장대 입니다 설명은 아래 사진글이 있읍니다

 

 

 

관촉사 종입니다

 

 

 

 

 

석탑이 피사의사탑처럼 넘어지네요~왼족하단이 배례석 입니다

 

 

글이 안보이시면 사진을 더블클릭하면 커집니다

 

 

다른  방향에서

 

 

배례석 입니다

 

 

 배례석 입니다(옆에서)

 

 

 

 

또다른 방향

 

 

이것은 석등입니다 아래 사진에 설명이 있읍니다

 

 

 

 

석등을 다른 방향에서

 

 

이것이 바로 은진미륵 입니다(석조미륵보살입상)

 

아래 사진글이 안보이시면 더블클릭하시면 보입니다

참고로 위에 이미 설명이 있는것과 같아요.

 

 

 

 

지금부터 여려 방향으로 감상하겠읍니다

 

 

 

이부분은 미륵상 아래부분으로 두손 밑에까지가 자연석입니다

지금은 설명이 없지만 제가 어릴때 소풍을 여기에 왔을때는 설명이 있던거 같어요

기억을 더듬어서~~~~~이곳에 어떤애기 울음소리가 들려 가보니 돌이 위로 자라더랍니다

그때 이를본사람중에 어떤 여자분이 돌이 자란다고 말을하는순간 갑자기 돌이 크는것이 멈췄다는 전설이 있는걸로 기억합니다(들은소리라 가물가물)

 

 

 

 

불상 이마 한가운데에 옜날에는 금인지 다이아인지 박혔는데 도둑맞았다고 전해 들었어요(어릴때라서) 

 

 

 

 

귀가 엄청 크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