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동물·곤충/새·조류

참수리,steller's sea eagle천연기념물 제243호

사오정버섯 2007. 3. 12. 22:05

참수리[steller's sea eagle]

황새목 수리과의 조류.
 
학명  Haliaeetus pelagicus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제243호
지정연도  1973년 4월 12일
소재지  동북아시아 코랴크산맥·캄차카반도·사할린섬·아무르·한국
크기  몸길이 수컷 89cm, 암컷 102cm
종류  황새목 수리과
 
몸길이 수컷 89cm, 암컷 102cm이다. 큰 부리와 쐐기모양 꽁지가 특징적이다. 수컷 겨울깃의 이마는 흰색이다. 머리꼭대기·뒷머리·목옆의 깃은 다갈색에 길고 버들잎 모양인데 깃끝은 흰색을 띤다. 눈앞의 깃은 누런 갈색에 성긴 편이다. 뺨과 귀의 깃은 어두운 갈색이다. 턱밑과 멱의 깃은 약간 길고 짙은 다갈색이고 가슴과 배는 다갈색, 허리·위꼬리덮깃은 흰색이다. 허리와 등의 경계에 갈색과 흰색이 약간 섞여 있다. 꼬리깃은 흰색이며 14개이다. 날개깃은 다갈색이나 가운데날개덮깃에 흰색 무늬가 섞여 있다. 목과 다리의 덮깃과 아래꼬리덮깃은 흰색이다. 어린 새는 검고 얼룩지나 꽁지는 보통 흰색이다. 바닷가나 하천의 하류, 평지와 산지의 하천, 호수 등지에서 모습을 보인다. 강 기슭과 하구의 개펄, 갈대밭 등의 땅 위에 내려 앉기도 한다.

한국에서는 아직 번식지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겨울에 한하여 눈에 띈다. 대개 단독으로 생활하나 낙동강 하구에서는 독수리·흰꼬리수리와 함께 5∼6마리 또는 10마리씩 무리를 짓기도 한다. 바닷가 큰 나뭇가지 위나 암벽에 둥지를 틀고 5월경 한배에 2개의 알을 낳는다. 먹이는 주로 동물성으로 연어·송어·멧토끼·물범·물새 따위를 잡아먹는 데 동물의 썩은 고기도 즐겨 먹는다. 동북아시아의 코랴크산맥·캄차카반도·사할린섬·아무르 등지에 분포하며 일부는 한국·일본(홋카이도)·쿠릴열도에서 겨울을 난다. 독수리·검독수리·흰꼬리수리와 함께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되었다.
 
 

매목(―目 Falconiformes) 수리과(―科 Accipitridae)에 속하는 맹금(猛禽).

몸길이는 수컷이 약 88㎝이고 암컷은 약 102㎝이다. 흰색의 꼬리를 제외하고는 균일하게 짙은 갈색을 띤다. 어깨와 퇴부에 흰색 깃털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의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niger)는 기아종을 닮았으나 순백색의 꼬리깃과 상하 꼬리덮깃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모두 검은색이다. 다만 정수리와 목의 깃털은 회색의 축반을 갖고 있다. 부리는 기아종보다 짧고 높다. 부리, 다리 및 납막의 색깔은 담황색 또는 등황색이다. '괏, 괏, 괏' 또는 '갓, 갓, 갓' 하고 격한 소리를 내며 때로는 '컁, 컁, 괏'하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기도 한다. 해안, 하천의 하류, 호소(湖沼), 하안·하구의 갯벌, 갈밭 등지에 서식하며 해안의 큰 나뭇가지 위나 해안 암벽에 둥지를 튼다. 나뭇가지를 쌓아올려 큰 둥지를 만드는데, 해마다 같은 둥지를 보수하여 사용하므로 둥지는 계속 커지게 된다. 청백색의 알을 2개 낳는다.


오호츠크 해안, 사할린, 우수리 지방, 한국, 일본 등지의 동북아시아 전역에 분포한다. 흰죽지참수리(H. p. pelagicus)는 흔하지 않은 겨울새이고, 참수리(H. p. niger)는 흔하지 않은 텃새이자 겨울새이다. 2아종(亞種) 중 참수리가 보다 흔하며,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43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아종을 인정하지 않는 학자도 있으므로 2가지 아종에 대해서는 재조사가 요구된다.

 

       

 

◐환경부가 지정한 1급 멸종위기 조류 참수리가 발견되었다.
환경운동연합 소모임 '하호'는 지난 11일 미사리 탐조 시 팔당대교 옆 한강에 앉아 있는 참수리를 촬영하였다.
참수리는 여름에 러시아의 오호츠크 해 연안, 캄차카 반도, 사할린, 아무르 등지에서 번식하여 가을에 쿠릴반도, 일본, 우리나라도 내려와 겨울을 난다. 그러나 번식지에서 월동지까지 서식지가 전체적으로 파괴되어 전 세계의 수리류 가운데 개체수가 가장 빠르게 줄고 있는 종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참수리는 2000년경부터 꾸준히 2-3마리씩 발견되었으나 2004년에는 한 마리도 보고되지 않다가 2005년 팔당댐 부근에서 3마리, 간월호와 낙동강 하구에서 각각 1마리 발견된 것으로 보고되었다.[오마이뉴스 전경옥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