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동물·곤충/동물·희귀

신비하고 희귀한 동물들

사오정버섯 2007. 2. 20. 21:02

 

                        신비하고 희귀한 동물들

 

첨부이미지

 

희귀종 (붉은 박쥐)
우리나라와 일본의 대마도 및 만주에 이르는 제한된 분포를 이루고 있다. 여름에는 관목(灌木)에 1~2개체가 거꾸로 매달려 있으며, 겨울에는 폐광이나 동굴의 깊은 곳의 천정에 1~2개체가 매달려 있다. 전후에 북한의 여러 지방, 강원, 충북, 경북, 충남, 서울 등지에서 채집되어 소수가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최근에 해안가의 제한된 장소와 평창의 백용굴, 영월의 고씨동굴, 명마굴, 원둔굴, 단양의 아천굴, 문경의 호계굴, 장수굴 등지에서 새로히 발견되어 전국적으로 작은 무리가 서식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첨부이미지

 

취약종 (무태장어)
뉴기니섬의 북부, 보르네오섬의 동부인 서태평양에서 번식하여 쿠로시오 해류를 따라 우리나라까지 극히 소수가 회유하여 온다. 한국은 본 종 분포의 북한지이다. 제주도 및 거제도의 하천과 섬진강, 탐진강의 깊은 곳에 극소수가 서식하고 있으나 하천 생태계의 파괴로 인하여 전멸의 위험에 처해 있다.
성어는 2m 이상 성장하므로 쉽게 남획될 우려가 있으며 서식지의 철저한 보호가 요망된다.채집 기록 등으로 보아 수는 많지 않으나 전국의 활엽수 노령목(老齡木)에 서식하고 있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알락 해오라기)
1960년대 초까지는 드물게나마 경기도 이남에서 가끔 밀렵된 포획물(박제품)을 볼 수 있었으나 1970년대에 접어 들면서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구아대륙(歐亞大陸)에 비교적 널리 분포, 번식(繁殖)하였으나 점차 감소 되어, 오늘날에는 종의 보존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렀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대륙유혈목이)

이 종은 전국적으로 분포하지만 서식환경이 저지대의 초원이나 관목림 지대이기 때문에 사람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또한 개체군의 크기도 그렇게 크지 못하여 최근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최근 산청.하동(1985), 철원.금화(1987), 소금강(1988)의 보고가 있고, 대체로 널리 분포하지만 원래 개체수가 많지 않은데다 더욱 감소되어 발견이 어렵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하늘 다람쥐)
한국 특산아종이며 개체수는 많지 않으나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과거에는 백두산에서 경기도와 강원도에 이르는 중부 이북지방 전역에서의 보고가 있었다. 최근의 조사결과 덕유산, 지리산, 설악산, 건봉산 등에서 기록되었으며 1968년 가평의 인공소

 

첨부이미지

 

희귀종 (검은토끼 박쥐)
우수리 지방 북부, 아무르 지방, 트란스바이칼리아, 중국 동북지방 및 우리나라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P. a. ognevi Kishida와 P. a. uenoi Imaizumi & Yoshiyuki의 2아종(亞種)이 보고 되었으나 재검토를 요한다. 이남에서는 강원도와 경북 일부지역의 폐광이나 동굴에서만 볼 수 있는 희귀종이다. 동면하는 월동장소는 절대 보호가 필요하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긴가락 박쥐)

네팔, 세일론, 인도, 버마, 중국의 복건 및 호남(湖南), 해남도 및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종류이다. 동굴, 채석장의 낡은 구멍 및 건물의 지붕 등에 군서(群棲)하며, 겨울에도 같은 장소에서 동면한다. 본 종은 비교적 흔한 종이었으나 남획으로 감소되고 있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뿔 박쥐)
소련의 어니세이강 상류지역, 사할린, 알타이, 일본과 한국에 분포한다. 동굴, 폐광, 바위틈이나 좁은 구멍에 산다. 대개 갱도 구멍에서 20~30m 이상 들어간 깊은 곳에 작은 남포구멍에 들어가 산다. 관박쥐와는 공서(共棲)하지 않는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과 강원도 및 경북의 일부지방의 폐광이나 갱도에서만 산다. 충북의 점말동굴에서는 화석으로 많은 뼈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지방에서는 우점종(優占種)이었을 것으로 짐작되나 최근에는 절종(絶種)의 우려가 있는 희귀종이므로 시급한 보호가 요청된다.

 

첨부이미지

 

취약종 (대륙목도리 담비)
한국 특산아종이다. 종의 분포는 한국, 소련, 중국에 분포한다. 주로 산림에서 서식하고 나무도 잘 탄다. 새벽 해뜨기 1시간 전후하여 계곡에서 쌍을 지어 계곡을 오르내린다. 먹이를 잡을 때는 서로 협동하여 잡는다. 지리산, 설악산, 속리산, 광릉 등지에서 기록이 있으며 개체수는 많지 않다. 밀도가 높지 않으므로 포획에 앞서 보호함으로써 해수(害獸)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을 것이다.

 

첨부이미지

희귀종 점박이물범(Phoca largha ; spotted seals)은 한국의 백령도와 장산곶을 끼고 도는 북한 서해 연안, 그리고 중국의 랴오뚱만의 얼음바다를 이동하며 번식, 성장한다. 고래류를 제외한 서해안 유일의 해양포유류며, 천연기념물 331호, 멸종위기야생동물 2급으로 지정, 보호받고 있는 서해안의 깃대종이다. 중국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1940년대 8,000마리에 육박하던 점박이물범은 1980년대 2,300마리, 그리고 현재는 약 1,000마리의 개체수 만을 유지할 뿐이다. 이 중 백령도를 서식지로 이용하는 개체수는 약 350~400마리 정도. 녹색연합은 2006년 2월 말, 중국 학자들의 점박이물범 연구성과와 주요 번식지를 확인하기 위해 요녕성 다롄(大連, DALIAN)을 찾았다. 

 

첨부이미지

 

위기종 (사향노루)
소련의 알타이, 시베리아, 동북부의 에니세이강에서부터 시베리아 중부의 콜리마강 동사면에 이르는 시베리아의 산악 침엽수림, 오호츠크, 사할린 및 우리나라와 중국, 인도 등에 널리 분포한다. 전남 목포에서 백두산에 이르기까지 전역에서 분산적으로 소수가 포획되었으나 격멸되어 위기에 처했다. 최근에는 충남 예산, 구례, 화천 등에서 밀렵되었다. 충북 영동, 고양 등에서 포획된 바 있고, 1971년에 잡혀 창경원에 入苑된 개체는 1972년에 죽었다

 

첨부이미지

 

취약종 (꼬리치례 도롱뇽)
강원도 내륙의 비교적 개발이 덜된 일부 산악 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멸종되는 단계로 추정된다. 산악지대의 각종 도로 공사, 관광지 개발 공사 등으로 계류의 바닥에 토사가 유입, 매몰되어 생태계가 파괴되고, 관광객에 의한 오염, 한약재로 남획 등으로 최근들어 집단 크기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1980년대초 3월경에 20여 개체씩 발견된 바 있던 경기도 파주군 광탄면 보광사 계류에는 최근 한 개체도 발견되지 않는 실정이다

첨부이미지

희귀종인 검은토끼 박쥐

 

 

 

 

'새·동물·곤충 > 동물·희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꺼비[toad]  (0) 2007.02.21
세계의 희귀 동물들  (0) 2007.02.20
전남 무안읍 성남리 사슴 사육장의 흰사슴  (0) 2007.02.15
아르마딜로 동물  (0) 2007.02.15
255세 거북이  (0) 2007.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