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릭하시면 원본크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http://img.news.yahoo.co.kr/picture/2007/b3/20071109/20071109112100786b3_112100_0.jpg)
현대중공업은 최근 미국 OSG사로부터 수주한 21만6천입방미터급(㎥) 초대형 LNG선의 건조를 완료하고 선주 측에 인도했다고 지난 9일(금) 밝혔다.
「알 가타라(AL GATTARA)」호로 명명된 이 선박은 길이 315미터, 폭 50미터, 높이 27미터로, 축구장 3배 정도 넓이의 위용을 자랑한다.
또 국내 LNG 사용량의 1.5일분을 한 번에 실어 나를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로, 카타르 라스 라판(Ras Laffan) 지역에서 LNG를 수송할 예정이다.
지난 2004년 11월 수주한 이 선박은 기존 스팀터빈 추진방식과 달리 세계 최초로 엔진효율이 40% 가량 뛰어난 디젤엔진을 LNG선에 장착했으며, LNG 화물탱크에서 자연 기화되는 천연가스를 재액화시켜 화물탱크에 저장할 수 있는 재액화(再液化) 장치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또한 2만5천마력급 엔진 2기와 쌍축(双軸) 프로펠라를 이용해 19.5노트(시속 36km)로 항해할 수 있다.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2004년 계약 당시만 해도 전세계 LNG선이 모두 스팀터빈엔진을 채택하고 있었지만, 한발 앞선 디젤엔진 추진방식 LNG선을 개발하며 새로운 도전을 하게 되었다”고 말했다.
이같은 끊임없는 도전으로 현대중공업은 지금까지 약 40여 년간 사용되던 스팀터빈 추진방식이란 고정관념을 깨고 지난 6월 국내 최초로 전기추진방식 LNG선을 건조했으며, 이번에 디젤엔진 추진방식 LNG선을 건조하는 등 3가지 타입의 LNG선 건조 기술을 모두 갖춘 회사가 됐다.
현대중공업은 지난 70년대 말부터 국내 최초로 LNG선 연구개발에 나서 30여 년간 축적해 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개념 LNG선을 개발하는 등 지금까지 1천300여척의 선박을 건조해오며, 세계 조선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한편, 현대중공업은 지금까지 22척의 LNG선을 인도하고 수주잔량 15척을 확보하고 있다.
보도자료 출처 : 현대중공업
선박을 탄생시키는 위대한 ‘자궁’
부위별로 제작된 선박블록들을 조립해 선체를 만드는 작업장을 도크(Dock)라고 한다. 도크는 바다를 수문으로 차단하고 웅덩이처럼 깊게 판 형태로, 초대형 욕조나 수영장을 연상하면 된다. 배가 완성되면 도크에 물을 채워 쉽게 바다로 빼낸다.
배 한 척을 건조하는데 들어가는 블록은 선종(船種)에 따라 작게는 40개, 많게는 100여 개다. 블록 하나의 무게는 작게는 100여 t, 큰 것은 무려 1500t에 이른다. 도크에서는 이들 블록을 탑재하고 조립하여 40~45일만에 배 한 척을 뚝딱 만들어 낸다.
도크에서는 한꺼번에 4~5척의 선박을 동시에 건조해 낸다. 건조 완료단계에 있는 선박 뒤로 새로 건조되는 선박들이 꼬리를 물고 공정을 진행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밀어내는 형태다. 이를 ‘앞뒤로 나란히’라는 뜻에서 ‘탠덤(Tandem)방식’이라 한다.
![클릭하시면 원본크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http://img.news.yahoo.co.kr/picture/2007/34/20071108/2007110800110522334_034543_0.jpg)
이렇게 선체가 완성되면 도크에 물을 채우고 수문을 열어 진수(進水)한다. 비로소 선박이 바다의 품에 안기게 되는 것이다. 엄마의 자궁에서 생명을 키워 세상으로 나오는 아기들처럼.
현대중공업의 세계 최대 100만t급 도크는 길이 640m, 폭 92m, 높이 13m로 축구장의 6배 크기다. 이런 도크에 물을 집어넣고(注水), 배를 빼내고(進水), 다시 물을 빼내는(排水)는 데 꼬박 2~3일 정도 걸린다. 때문에 금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한밤중까지 초를 다투며 마무리한다. 월요일부터 정상조업을 하기 위해서다.
100만t급 도크에 채우는 물을 1만2000t 용량의 유조차에 싣는다고 가정하면 83만3333대가 필요하다. 이 엄청난 물을 도크에서 빼내는 데는 11시간이 걸린다.
이렇게 진수과정이 힘든 만큼 도크 근로자들만이 누리는 ‘보너스’가 있다. 진수 후 도크에서 물을 퍼내고 나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고기들이 그것이다. 숭어는 사시사철 단골 메뉴고, 계절에 따라 우럭, 농어, 도다리 등 고급 어종들도 많다. 최근에는 전어가 주종을 이룬다. 많을 때는 1t, 적어도 두어 상자는 넉넉히 잡힌다고 한다.
휴일과 철야를 밝히며 새 생명을 탄생시킨 도크 근로자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싱싱한 생선회와 소주 한 잔은 얼마나 낭만적인 선물인가.
[조용수 현대중공업 문화부 차장]
배 한 척을 건조하는데 들어가는 블록은 선종(船種)에 따라 작게는 40개, 많게는 100여 개다. 블록 하나의 무게는 작게는 100여 t, 큰 것은 무려 1500t에 이른다. 도크에서는 이들 블록을 탑재하고 조립하여 40~45일만에 배 한 척을 뚝딱 만들어 낸다.
도크에서는 한꺼번에 4~5척의 선박을 동시에 건조해 낸다. 건조 완료단계에 있는 선박 뒤로 새로 건조되는 선박들이 꼬리를 물고 공정을 진행시키면서 순차적으로 밀어내는 형태다. 이를 ‘앞뒤로 나란히’라는 뜻에서 ‘탠덤(Tandem)방식’이라 한다.
![클릭하시면 원본크기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http://img.news.yahoo.co.kr/picture/2007/34/20071108/2007110800110522334_034543_0.jpg)
이렇게 선체가 완성되면 도크에 물을 채우고 수문을 열어 진수(進水)한다. 비로소 선박이 바다의 품에 안기게 되는 것이다. 엄마의 자궁에서 생명을 키워 세상으로 나오는 아기들처럼.
현대중공업의 세계 최대 100만t급 도크는 길이 640m, 폭 92m, 높이 13m로 축구장의 6배 크기다. 이런 도크에 물을 집어넣고(注水), 배를 빼내고(進水), 다시 물을 빼내는(排水)는 데 꼬박 2~3일 정도 걸린다. 때문에 금요일 저녁부터 일요일 한밤중까지 초를 다투며 마무리한다. 월요일부터 정상조업을 하기 위해서다.
100만t급 도크에 채우는 물을 1만2000t 용량의 유조차에 싣는다고 가정하면 83만3333대가 필요하다. 이 엄청난 물을 도크에서 빼내는 데는 11시간이 걸린다.
이렇게 진수과정이 힘든 만큼 도크 근로자들만이 누리는 ‘보너스’가 있다. 진수 후 도크에서 물을 퍼내고 나면 미처 빠져나가지 못한 고기들이 그것이다. 숭어는 사시사철 단골 메뉴고, 계절에 따라 우럭, 농어, 도다리 등 고급 어종들도 많다. 최근에는 전어가 주종을 이룬다. 많을 때는 1t, 적어도 두어 상자는 넉넉히 잡힌다고 한다.
휴일과 철야를 밝히며 새 생명을 탄생시킨 도크 근로자들에게, 세상에서 가장 싱싱한 생선회와 소주 한 잔은 얼마나 낭만적인 선물인가.
[조용수 현대중공업 문화부 차장]